XRC 3

[SVRF] PAD to clamp (diode) path 저항 계산 - 3편

2편에서 추출한 LPE 결과가 있다면 이제 끝이 보인다. 추출된 파일은 3개의 파일로 구성되는데 1. out.pex.netlist 2. out.pex.netlist.pex 3. out.pex.netlist.TEST.pxi 로 구성되며, 1번 파일에는 DB의 device들이 있으며 2번 파일에는 modeling 부분이 subckt으로 지정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3번에는 2번 파일에서 정의된 modeling 부분을 instance call 하게끔 되어 있다. 여기서 필요한 부분은 3번 파일 부분으로 instance call 부분을 살펴보면 한쪽은 AVDD08이고, 나머지는 VIA1에 붙어있는 M1이 port로 지정돼 있다. N_AVDD08_R111@XXX_pos와 같은 형식인데 sed 명령어로 해당 pos에..

Layout/Verification 2017.02.06

[SVRF] PAD to clamp (diode) path 저항 계산 - 2편

앞서 1편에서는 원본 DB에서 원하는 NET만 추출하는 것을 해 보았다. 이번 편이 가장 복잡한데, 구상한 알고리즘대로 차례대로 진행해 보겠다. 먼저 원하는 NET을 추출한 DB의 경우 PAD에 Pin이 있을 테고, 그와 연결된 Metal, Via가 있을 것이다. 물론 반대쪽 끝에는 pin이 없다. 원하는 NET의 LPE를 추출할 것인데, LVS를 Correct 시킬 필요는 없다. svdb만 만들어지면 되므로 가짜 CDL netlist를 작성해 보자. 작성한 TEST.cdl 파일은 아래와 같다. .SUBCKT TEST AVDD08 R111 AVDD08 bottom rm1 a=1 .ENDS rm1 (Metal1 저항) 이 하나 놓인 가짜 CDL netlist다. 껍데기라지만, 실제 DB에 device가 하..

Layout/Verification 2017.02.06

[SKILL] 원클릭으로 LPE를 추출해보자

원클릭으로 시리즈의 마지막이었던 calibre LPE 방법이다. 지금은 FinFet 공정으로 오면서 calibre PEX 가 아닌 calibre XACT로 바뀌었지만 방식은 크게 다르지 않다. template 파일을 만들고, 이 경우에서는 실행하는 batch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하도록 만들었다. 역시나 최근 작성한 것은 Cell, Corner, Temperature 별로 폴더를 나누었을 뿐 크게 바뀌진 않았다. 동작 상으로 Run 결과를 touch 문으로 기다리는 정도만 달라진 것 같다. run lpe procedure-> 총 파일 4개를 작성했는데, netlist 물고 있는 파일, rule 참조하는 파일,C, CC용 batch 파일이다. 각각 작성 후 ipc 통해서 실행하게 끔 해놓았다. proc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