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이 내려가 layout grid 가 0.005um에서 0.001um로 내려가면서 gds DB의 용량 또한 무시할 수 없게 커졌다. 이런 DB를 virtuoso로 여닫다 보니 상당히 버거워할 때가 있는데, cadence에서도 fast viewer를 제공하지만, 현재는 calibredrv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쓰다 보니 간단한 DB 확인이나, 수정에는 virtuoso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다만 아직 널리 쓰이는 layout editor가 아니다 보니 PDK 등에 설정이 제대로 돼있지 않다. (아니면 내가 못 찾거나) PDK 안에 virtuoso 용으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layermap, display.drf 등이 없어서 직접 작성해 주어야 했다. (시간 나면 virtuoso 용 laye..